본문 바로가기

여적

세계7대명품군함으로 뽑힌 불멸의 거북선

사서에 거북선이 등장한 것은 조선 초였다.

1413년 태종이 “임진도에서 거북선과 왜선의 전투를 구경했다”(<태종실록>)는 기록이 그것이다.

당시에도 거북선의 위력은 대단했다. 좌대언 탁신은 태종에게 “적선이 거북선과 충돌하면 견뎌내지 못한다”면서 “거북선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 무적의 도구로 삼아야 한다”고 아뢴다.

그러나 새롭게 개조·창안한 거북선으로 조선을 구한 이는 이순신 장군이었다. 이 장군이 4곳의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거두고 올린 장계에 거북선의 위력을 마음껏 과시했다.


“왜적의 침입을 예측하고 거북선을 만들었는데…용머리 입에서 총통을 쏘고, 등에 송곳과 칼을 꽂았습니다. 밖에선 안을 볼 수 없으니 적선 수백척을 향해 쉽게 돌진해서 포를 쏠 수 있습니다.”

거북선의 모양은 1795년(정조 19)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에 삽입된 그림(‘귀선도설’)으로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그림만으로 구체적인 선체의 내외부 구조와 재질 등을 파악하기는 역부족이다.

임진왜란 당시의 실물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학계는 칠천량 전투(1597년) 현장을 주시했다. 왜군은 원균이 이끄는 조선의 병선 160척을 궤멸시킨 뒤 남은 배까지 모두 불살랐다.

이때 거북선이 침몰했다면 바로 칠천량 해저의 뻘 속에 남아있을 수 있다. 1970년 이후 대대적인 발굴작업이 이어졌다. 하지만 인양 소식은 없었다. 왜군이 조선의 선박을 모두 불살라버렸기에 흔적도 없이 사라진 것일까.
그렇지만 거북선은 남겨진 기록과 그림만으로도 세계해군사의 레전드다. 미국해군연구소가 2만6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세계해군 역사상 7대 명품 군함에 선정됐다.

“용머리의 연기분출장치는 강력한 심리적 무기였고, 승전의 군사적 영향이 현재까지 이어졌다”는 평가가 따랐다. 1812년 미·영 전쟁 때 포탄마저 튕겨 나갔다는 미국의 범선 ‘USS 컨스티튜션’ 등과 동급으로 대우한 것이다.
서·남해에서 잇달아 발견되는 옛 선박들을 보고 달콤한 상상을 해본다. 칠천량의 어떤 어부 손에 거북선의 잔존유해가 우연히 걸리지 않을까. 해저의 뻘층은 유물을 수천·수백년간 온존시킬 수 있으니 결코 헛된 꿈이 아니다. 이기환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