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잘 쓰지 않지만 성질이 흉악한 사람을 ‘개고기’라 일컬은 때가 있었다. 살아서는 한없이 충성스럽고, 죽어서는 여름철 보양식으로 사랑받아온 개와 개고기가 왜 망나니를 뜻하는 나쁜 말로 변했을까. 어릴 적 악몽이 떠오른다.
해마다 복날이면 마을 한복판에 개를 매달아놓고 몽둥이로 매질을 가해 천천히 죽였던 그 끔찍한 기억 말이다. 온 동네 개들은 비명 속에 죽어가던 ‘동족’을 처절한 울부짖음으로 보내주었다. 개가 고통을 느껴야 호르몬이 분비돼 육질이 부드러워진다나 어쩐다나. 그 잔인한 의식이 끝나고 팔팔 끓는 개고기를 땀 흘려가며 먹었던 바로 그 사람들…. 망나니 같은 그들의 잔인함에서 비롯된 말이 ‘개고기’라는 표현이 아니었을까.
개고기는 동양만의 식습관은 아니었다. 1926년 1월 8일 동아일보를 보면 흥미롭다. “조선에서는 위생상 해롭다고 떠드는데 독일 작센 지방에서는 매년 평균 5만두의 개가 식용으로 팔리고, 개고기 전매업자까지 있다”는 해외토픽을 전하고 있다. 하지만 차츰 ‘개고기는 동양의 야만스런 식습관’이라는 이미지로만 굳어져 갔다. 중국의 위안스카이(袁世凱)가 독일의 빌헬름 2세에게서 사냥개를 선물받은 뒤 보냈다는 감사편지는 인구에 회자된다. “맛있게 잘 먹었소이다.”
동양의 개고기 역사가 뿌리깊기는 하다. <예기> 등을 보면 2600년 전인 주나라 때부터 여름철 보양식으로 애용됐다. 한나라를 세운 유방은 ‘개도살업자’인 번쾌가 잡아준 개고기를 즐겨 먹었다. 한나라 창업의 일등공신이 된 번쾌는 개백정에서 제후로 출세한 것이다. 조선의 다산 정약용과 초정 박제가도 소문난 개고기 애호가였다. 다산은 흑산도에 유
배 중인 형(정약전)에게 편지를 보내 “나라면 섬 안을 돌아다니는 들개를 5일에 한마리씩은 삶아 먹겠다”고 입맛을 다셨다. 박제가는 ‘개 맛있게 삶는 법’, 즉 개요리의 ‘필살 리시피’까지 남겼다.(<다산시문집>)
지금 중국 광시(廣西) 자치구 위린시(玉林)시에서는 개고기축제가 국제적인 논란 속에 열리고 있다. 그저 식습관일 뿐이라는 주장과 동물학대라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그러나 하지를 맞아 벌이는 일주일 축제를 위해 무려 1만 마리의 개가 도살됐다. 이 대목에 이르러서는 입을 다물 수가 없다. ‘개고기’라는 욕을 들어도 싸다.
'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와 목민(牧民) 사이 (0) | 2015.07.03 |
---|---|
'내 탓이오'를 외친 임금 (0) | 2015.06.29 |
태조 왕건이 낙타를 굶겨죽인 이유 (0) | 2015.06.22 |
세작인가 X맨인가 (0) | 2015.06.16 |
파란만장한 창의문 옛길 (0) | 2015.06.15 |